카이스트 로봇공학학제전공에 관심있는 분들을 위해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해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기 때문에 가볍게 참고만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필자는 현재(24년 1월 기준) 카이스트 로봇공학학제전공 대학원 박사 과정에 재학 중입니다.
1. 카이스트 로봇공학학제전공 이란?
글로벌 로봇 인재 양성을 하는 학과입니다. 혹시 글로벌한 로봇 인재가 되고 싶으시다면 지금 지원하세요 😀
카이스트 로봇공학학제전공 홈페이지: https://robots.kaist.ac.kr/ 는 최근에 리뉴얼 되어 학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혹시 관심 있으신 분들을 위해 이전 홈페이지도 https://rp.kaist.ac.kr/ 공유해둡니다.
2. 대학원에서 중요한 부분
대학원 선택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관심 분야, 지도 교수님, 함께 일하는 동료, 졸업 후의 커리어입니다.
관심 분야는 학부 때 로봇 동아리를 통해 다양한 로봇들을 만들어 대회에 참가할 수 있었고, 그중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컴퓨터 비전이라는 분야를 선택했습니다. 지도 교수님은 컴퓨터 비전과 관련된 교수님들을 로봇공학학제 홈페이지(https://robots.kaist.ac.kr/sub0401)를 참고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지원 당시(2018년)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은 '내가 왜 대학원을 선택했는가?' 였는데, 관심 분야를 깊이 있게 연구한 뒤에 글로벌 최고의 기업에 가고 싶다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세상에서 제일 잘나가는 기업에 있는 우수한 사람들과 같이 일해보고 싶고 얼마나 잘 하는지 궁금했었습니다. 나는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연구실 졸업생(Alumni)들의 졸업 이후의 커리어도 체크를 했습니다. 내가 연구실에 들어가서 특출나게 잘해서 아주 좋은 커리어를 쌓으면 좋겠지만, 확률적으로 굉장히 드물 것으로 생각했고, 평균적으로 연구실 졸업생분들이랑 비슷하게 갈 것 같으니 연구실 홈페이지에서 졸업생들 진로가 내가 원하는 기업으로 가신 경우가 있는 연구실을 선택했습니다.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자'는 말처럼 거인들이 많은 연구실에 가면 나도 최소한 거인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함께 일하는 동료는 제가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긴 하지만 연구실에서 가장 많이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대학원 생활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연구실 사람들이 모두 뛰어난데 나만 못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연구실에 있으면 자연스럽게 그들의 생활을 벤치마킹하게 됩니다. 연구실의 규모는 소형 연구실보다는 대형 연구실을 선호했는데 이는 로봇 동아리의 경험을 많이 받았습니다. 동아리 때나 지금이나 평소에 질문을 많이 하는 편인데, 대형 연구실에서 다양한 사람들에게 질문하고 알아가는 게 더 나랑 더 잘 맞다고 생각을 해서 대형 랩 위주로 찾아보았습니다. 운이 좋게 연구실에 좋은 분들만 있어서 많이 배우고 성장할 수 있었고 다시 돌아가도 같은 연구실로 지원할 것 같습니다 😁
3. 로봇공학학제 전공의 장단점
카이스트 대학원을 지원을 생각하면 무슨과 (ex, AI 대학원, 전기및전자공학부, 전산학부, 조천식녹색교통)로 지원을 해야 되는지 고민을 자연스럽게 하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입시의 관점에서 타과 대비 로봇학부의 장점은 다양한 로봇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의 연구실에 컨택할 수 있다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학과는 지도 교수님을 선정하고 난 이후에는 학교생활에 있어서는 과별로 졸업요건 수강과목 정도 차이가 있고 그 외에는 크게 차이를 못 느끼긴합니다. 대학원 입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과보다는 어떤 교수님 연구실을 들어가는지라고 생각합니다. 입학 이후에는 어디 과인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고 '어떻게 연구를 잘 할까?'만 고민했던 것 같습니다.
로봇공학학제는 카이스트 장학생만 가능하고 국비 장학생이 없습니다. 입학 전에는 교수님마다 카이스트 장학생, 국비 장학생 TO가 있기 때문에 컨택시 카이스트 로봇공학학제 전공으로 지원을 한다고 명확하게 현재 상황을 전달해 드려 교수님이 가지고 계신/생각하고 계신 TO를 확인하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입학 후에는 국비 장학생이 약간의 금전적인 부분에서의 지원 대신에 수업의 TA를 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학과의 아쉬운 부분은 없긴 한데 굳이 꼽자면 학과의 규모가 작아서 종종 학과별로 발송되는 정보 메일(Invited Talks, 행사, 디펜스)이 비교적 다른 과에 비해 적다는 정도 인 것 같습니다. 저에게는 아쉬운 부분이지만 쓸데 없는 메일이 안와서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학부가 로봇학부여서 당연히 대학원도 로봇공학학제전공에 가야지 생각해서 이런 고민을 거의 안 하긴 했습니다. 다시 지원할 때로 돌아간다면 다른 선택지가 있어도 똑같이 로봇공학학제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
4. 입시 과정
대학원 입시 과정은 크게 서류와 면접이 있는데 서류는 대학원 입시 홈페이지 (https://admission.kaist.ac.kr/graduate)에서 확인해서 필요한 서류를 제출했습니다.
지원 당시 제 학점은 3.9 (4.5 만점 기준), TOEIC 735 (720 커트라인) 로봇 관련 외부 활동들(우수성입증자료 10개)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했습니다. 스펙 부분에 대해서는 정답은 없는 것 같아서 후회 없이 지원해보면 좋지 않을까요?
석사 면접 준비는 주변에 카이스트를 진학하신 학부 선배님들에게 많이 질문을 하면서 준비를 했었습니다. 카이스트를 진학한 학부 선배들에게 물어보면 나랑 똑같은 길을 이미 가보신 사람이기 때문에 굉장히 도움이 되는 조언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경험한 면접은 2019년, 2021년 내용이기 때문에 지금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당시에 준비했던 내용은 크게 전공과 관련된 기본 수학지식(ex, 선형대수학, 자코비안), 자동 제어와 앞으로 공부하기를 희망하는 컴퓨터 비전 내용을 준비를 했습니다. 이외에는 왜 대학원을 진학하는 지와 졸업 이후에 진로 및 박사 진학 여부 같은 것을 준비했습니다. 면접은 약 10분 정도의 시간 내에서 자기소개와 심사위원 3 - 5분에서 질의 응답 하는 식으로 진행이 되어서 관련된 질문을 제가 답을 했습니다. 운이 좋게 제가 준비했던 내용 안에서 심사위원분들이 질문을 해주셔서 쉽게 답할 수 있었지만 면접 중간에 즉석으로 영어 질의 및 응답을 하는 경우에는 조금 답변 하기가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박사 면접 준비는 석사때 진행 했던 연구 위주로 준비를 했었고 카이스트에서 석사 입시 때 준비했던 내용과 석사 연구 정도 준비해서 면접 준비했습니다. 박사 면접은 석사 면접 대비 비교적 수월하게 진행되었습니다. 혹시 카이스트 박사를 다른 대학 석사 졸업 후에 처음 지원하게 된다면 조금 더 많은 준비가 필요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합니다.
면접 준비는 정답은 없는 것 같아서 자신이 준비할 수 있는 만큼, 후회하지 않을 만큼 하면 되지 않을까요?
5. 본 게임은 연구실 컨택
대학원 입시 후에는 연구실 컨택이 진행이 되는데, 입시는 예선이고 본 게임은 연구실 입시(컨택)라고 생각합니다. 연구실 컨택이 대학원 입시보다 체감상 5배 이상 어려웠던 것 갔습니다. 운이 좋게 저는 원하는 연구실을 입학하게 되었지만, 원하는 연구실을 진학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원하는 연구실에 가기 위해서는 사전 컨택 또는 인턴을 하는 학생들도 많기 때문에, 혹시 이 글을 보시는 분 중에서 원하는 분야를 정했다면, 방학 때 연구실 인턴을 하면 더 경쟁력이 있을 것 같습니다.
연구실 컨택 시기에 있어서 정답은 없겠지만, 원하는 분야와 교수님을 정했다면 바로 메일로 교수님과 미팅을 잡아보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려운 부분이지만 교수님 입장에서는 내가 (많은 학생 중에서) OOO 학생을 왜 뽑아야 하는지, 같이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지가 궁금할 것 같은데, 이와 관련되어서 '나의 장점, 차별점은 무엇인가?' 같이 고민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이 희망하시는 대학원, 연구실에서 시작하면 좋겠습니다!
할 수 있다!
6. 대학원 진학 준비시 도움 되는 자료들
-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모임 인기글: 댓글/좋아요 TOP (최근 7일 대신 전체 기간으로 보세요)
- 인상적인 대학원 준비 과정 글
-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 박사과정을 돌아보며: 시작
- 김박사넷
- 자기소개서 참고 양식
7. 로봇공학학제전공 다른 후기들
Copyright 2024. Trevor all rights reserved.